지난해 말 환경운동연합이 서울의 담배회사 앞에 꽁초로 트리를 만들었다 한다.
담배꽁초는 애환이 많다.
언제부터인가는 모르겠지만 권련으로 담배가 나온 후 부터 꽁초도 만들어 졌을 것으로 본다.
필터가 없는 담배는 자연 분해가 되었는데 화학섬유의 필터을 달린 후 문제가 된 것 같다.
그 옜날 50~60년대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은 담배꽁초을 모아서 연초만 선별하여 팔고 피우던 시절이 있었는데...
중년 이상의 세대는 담배값이 없어 재떨이 쓸만한 꽁초를 찾아 몇모금 빨려고 했던 기억들이 있을 것이고, 처음 담배를 배울 때 손수레의 가치담배를 사서 친구들 간 담배 한대 가지고 서로 많이 피려고 깊이 빨았던 기억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생활수준이 올라가니 몇모금 빨고 버리는 장초(꽁초)가 예사라...
수도인 서울의 가장 화려하다는 강남의 뒷골목에 가니 담배피는 사람들과 바닦에는 꽁초가 눈쌀을 찌프리게 하고 내가 사는 지방 소도시는 담배꽁초로 도심 .전체가 재떨이와 쓰레기통으로 변해있다.
사회단체서 담배꽁초로 트리를 만드는 것을 보니 어느 특정지역에 한하지 않은 것 같다.
금연분위기 때문에 사회 전체로 좋아진 부분도 있다. 스포츠 시설이나 식당 등에서 금연장소로 지정하고 일정면적 이상에서의 영업장은 흡연장을 설치하여 담배를 안 피거나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을 동반한 경우 쾌적한 분위기를 가질 수 있어 바람직한 부분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장소는 흡연장소가 없다.
나도 한 때 담배를 피웠지만 그 때는 최소한 꽁초를 거리에 버리지 않고 주변의 쓰레기 통이나 재떨이에 버렸다. 그런데 요즘은 아무리 주위를 둘러봐도 쓰레기통과 재떨이를 볼 수 없다.
깨끗하게 하자는데는 나도 이론이 없다. 하지만 담배를 필 곳도 꽁초를 버릴 장소도 없으니 흡연가들은 거리를 배회하며 담배를 피고 아무 곳에나 피다만 담배를 버리니 어린 아이들 보기 창피하고 환경오염은 물론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식당앞과 주차장, 공공장소 및 거리의 조금 후미진 곳을 보면 모두 재떨이다. 눈쌀이 찌프러지지 않을 수 없는 모습이다.
여기에는 우리사회의 구조적인 부분이 내재되 있다. 흡연자를 죄인시 취급하며 그들은 권리를 찾으려 하면 백안시 하는 사회 풍조가 문제이며, 비싼 세금 내고 담배를 피우건만 정작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그들에게도 문제가 많다.
그리고 아직도 우리 사회는 획일적인 군사문화가 만연해 있어 어느 한 것에 바람불어 분위기가 형성되면 반대되는 사람이나 부분에 대한 배려가 없이 모든 사회구조가 그 바람에 편승해 간다. 금연을 권장하는 사회 분위기는 좋으나 정작 흡연가를 배려하는 곳은 특정지역을 빼고는 우리 생활 주변에 눈씻고 찾아봐도 없다.
담배 값은 지난 정권 코뭍은 돈을 겉어 재정에 사용하고자 머리 좋은 아저씨(?)들이 담배 값이 인상되면 흡연인구가 줄어 세수가 줄어들지 않는 범위를 산정하여 인상했다 하는데 흡연인구는 담배 값 인상 전으로 돌아갔다 하니 정부와 담배회사만 좋아진 것 같다.
해서 이제는 정부와 담배회사의 사회적 기능이 필요한 때이다.
정부와 담배회사는 곳곳의 공공장소에 흡연장소를 만들어 흡연가들이 편안하게 흡연 할 수 있도록 해주고 관리하여 흡연장소가 아닌 곳에서 담배피고 꽁초를 버리는 것을 통제하여 온 나라가 재떨이가 되고 쓰레기 통이 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그리고 정부도 각 사업장 주변에 강제로 흡연장소를 만들어 주변 환경에 좀더 신경을 쓰도록 해야한다.
기존의 업장이 큰 곳은 흡연장소를 운영하고 업장이 작은 곳도 근처에 흡연할 수 있는 장소를 만들고 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사회단체도 일과성으로 보여주기식 행동도 중요하지만 남에게만 미룰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깨끗한 거리와 환경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지 대안을 제시하고 행동해야 한다.
문화가 바뀌는 것은 억제만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비록 소수일지라도 그들을 배려하고 권리를 보장하므로써 의식이 변하고 선진국으로 한 걸음 내 딛을 수 있는게 아닌가 싶다. 문화의 변화는 적당한 자율과 적당한 통제가 병행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홍보와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 옜말에 '첫술밥에 배부르랴' 하는 속담이 있는데 일부 성질급한 이(몰지각한 지도층 & 오피니언 리더)들은 선도적으로 모범을 보일 생각은 않고 본인들의 수준이 낮은 것을 생각 못하면서 새로운 것을 시행 할 때 숲은 보지않고 나무만 보면서 매스컴에 얼굴을 내밀고 현란한 언어로 국민을 매도하는 경우도 많이 본다.
세상의 모든 일은 순기능이 있으면 역기능도 발생하는데 어떻게 하면 그 역기능을 줄일까 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 시행의 전방에는 정부와 사회단체가, 담배회사가 행동에 나서야 할 것이다.
흡연자들도 흡연장소를 만들어 주면 거기에 상응하는 통제는 감수할 것이다.
정부와 담배회사, 그리고 사회 단체들이 힘을 합쳐 흡연하는 사람들의 권리를 보호해주고 계도하여 도심의 골목이 쓰레기통화 되는 것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깨진 유리창의 법칙"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으로 본다.
담배꽁초를 거리에 버리면 경범죄로 처벌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규제가 제대로 이행되려면 흡연하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가 있은 후에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환경운동가는 아니지만 대한민국 문화가 높아져 선진국으로써의 위상을 높이는데 일조하면 좋겠다 싶어 평소 느꼈던 생각을 두서없이 정리해 보았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득권을 지키려는 사람들 (0) | 2020.07.14 |
---|---|
6.25 남친과 통일에 대한 소견 (0) | 2020.06.24 |
흡연의 권리 (0) | 2019.12.23 |
다문화 가정의 사회 문제화에 따른 단상 (0) | 2019.12.16 |
수리현장(셧다운)의 백가쟁명 (0) | 2019.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