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섬 골동품 거리(홍콩) 홍콩섬의 골동품 거리(동네)이다. 산동네 길에 바둑판 처럼 생긴 동네 전체가 골동품 거리이다. 우리나라 서울 황학동 골목이라고 해야 할까? 찾아간 날이 일요일이이고 시간이 일러서 인지 문을 닫은 곳이 제법 많았지만 골목에는 제법 사람들이 붐볐다. 손가락 만한 것 부터 사람머리 만.. 여행 이야기 2015.01.24
홍콩 침사추이(Tsim Sha Tsui) 바다 야경(홍콩) 홍콩을 다녀온 사람들 모두 이야기 한다는 홍콩의 침사추이(Tsim Sha Tusi)의 바다야경을 보고 왔다. 홍콩 구룡반도 쪽 바닷가에서 홍콩섬 바닷가 건물의 야경을 보는 것이다. 백만불짜리 야경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펼쳐지는 곳이라 한다. 바다에 비친 불빛과 어러우러진 야경이 나쁜 것.. 여행 이야기 2015.01.11
Jokja serise 7 - 마무리(Indonesia) Jokja 2박 3일의 여행을 마무리 한다. 언제 다시 이곳을 찾을지는 알 수 없지만 여행의 소중한 기억을 정리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외국인이 본 단편적인 부분과 본인이 이해하려고만 하는 부분이 많기에 여행 후기를 정리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것 같다. 가능한 이들의 문화속에 들어가 .. 여행 이야기 2014.12.23
Jokja Series 6 파랑트리스 해변[Parantritis pantai](Indonesia) 인도양 바다를 보았다. 우리나라가 태평양 연안국가이다 보니 인도양을 접할 기회가 없는데 이곳 인도네시아 Jokja서 인도양을 보았다. Pantai는 해수욕장의 인도네시아 언어이다. 족자에서 서쪽 끝인데 한쪽으로는 야트마한 구릉이 병풍같이 길게 늘어서 그 안쪽으로 강이 흐르고 바깥쪽.. 여행 이야기 2014.12.20
Jokja Series 5 은세공 마을(Indonesia) 은 세공 마을의 간판이다. 물레로 은실을 감는 모습이다. 이 은실을 감아 세공하는데 사용을 한다. 숙달된 전문가들의 세공을 하는 모습들이다. 평소 관광객이 많아 카메라들 들이대도 작업하는 자세는 한치의 흔들림이 없다. BoroBudur 사원의 모습이다. 사원이 크니 전체의 모습을 알길 없.. 여행 이야기 2014.12.18
억새 (Indonesia) 인도네시아도 억새가 있다. 풀을 자르거나 태우고 난 후에 순이 나고 그 순끝에 나플거리는 억새를 볼 수 있다. 한국은 산에나 가야 볼 수 있는 억새가 이곳 인도네시아에는 지금 동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우기에 접어드는 지금 살랑거리는 억새를 보면서 잠시 향수에 젖어보며 눈.. 여행 이야기 2014.12.15
Jokja Series 4 Gunung Merapi 화산지역(Indonesia) 족자의 역사는 이곳 머라피화산과 뗄래야 뗼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BoroBudur 사원을 지은 벽돌이 이곳에서 나온 화산석(현무암)을 옮겨 벽돌로 조각한 후 만들었다 하고 또 그 사원이 이 화산에서 나온 화산재에 덮혀 폐허가 되었다 하니 아이러니 하지 않을 수 없다. 마침 이곳을 찾.. 여행 이야기 2014.11.08
Jokja serise 3 - Prambanan(프람바난) 힌두사원(Indonesia) 고대 힌두건축의 3대 걸작으로 지역 이름을 딴 Prambanan(프람바난) 사원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흰두사원으로 1991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된 후 전 세계 많은 관광객들에 의해 사랑받는 관광 명소가 되었으나 아직 계속 복구 중인데 가이드에 의하면 이슬람 국가이다 보니 국.. 여행 이야기 2014.10.27
Jokja Series 2 BoroBudur 사원(Indonesia) 족자여행의 진수인 BoroBudur 사원을 찾았다. 언덕위에 절 이라는 명칭으로 4곳 정방향으로 통로가 있으며 전체 구조는 4층의 구조로 1층은 저승 2층은 현세 3층은 사후 4층은 극락 신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8세기 경 100여년의 세월에 거쳐 세워졌다 한다. 40km 떨어진 머라피 화산의 화.. 여행 이야기 2014.10.14
Jokja Series 1 - Tihara Mendut [먼둣 사원](Indonesia) 벼르고 벼른 끝에 사랑하는 가족들과 함꼐 찾은 족자이다. 일명 욕자카르타(Yogjakarta)라고도 표기하기도 하지만 Jokjakarta라고도 하는데 이곳 사람들은 간단하게 족자(Jokja)라고 부른다. 이나라는 지방 자치제가 발달되어 있고 주지사는 전부 민선인데 이곳 족자만은 계속 국왕이 통치한단.. 여행 이야기 2014.10.03